반응형 근로자3 2026년 최저임금 협상 경과 정리 얼마 전에 6차 수정안이 발표되었죠. 7차 수정안은 어떻게 될까요?점점 2026년 최저임금 금액이 보이기 시작합니다.아래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금액과 전망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6차 수정안 (7월 3일 이후 진행)노동계(근로자 위원)최초 요구안: 시급 11,500원6차 수정안: 11,020원로 소폭 인하 사용자 측(경영계 위원)최초 제시안: 올해 최저임금 유지 → 10,030원6차 수정안: 10,150원으로 인상 요청 격차는 최초 1,470원에서 870원까지 좁혀짐7차~10차 회의 동향 (7월 8일 기준)7차 회의: 심의 공백, 합의 불발8차~10차 회의:노동계: 11,000원 조정사용자 측: 10,170원 제시 격차: 약 800~870원 수준 유지 공익위원(중간자 역할):‘심의촉진구간’ 제시 고려.. 2025. 7. 8. 고용지원금 최대 720만원 지원받을 기회 2025년 정부가 고용안정 및 민생 회복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추진 중인 것이 바로 ‘고용지원금’입니다.특히 총 6개월간 최대 720만 원까지 지급되는 구조라 자영업자, 중소기업, 청년구직자 등 다양한 계층의 관심을 끌고 있죠.하지만 많은 분들이 고용지원금이 정확히 어떤 제도인지, 어떤 조건에서 어떻게 신청하는지 헷갈려하십니다.이번 글에서는 2025 고용지원금의 개념, 지원 구조, 신청 대상,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고용지원금이란?✔️ 개념고용지원금은 근로자의 고용유지 또는 신규채용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2025년에는 취업취약계층(청년, 중장년, 경력단절여성 등)을 대상으로 한 채용 시, 고용유지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720만 원까지 받.. 2025. 6. 28. 퇴직연금 의무화? 아직 결정된 바 없습니다 “3개월만 일해도 퇴직연금? 목돈 퇴직금 사라진다?” 실제는 무엇일까요?2025년 6월 24일 조선일보를 비롯한 일부 언론에서 “퇴직금 사라지고 퇴직연금 의무화 된다”, “3개월만 일해도 퇴직금 지급”, “벤처기업 퇴직연금 투자 허용” 등의 보도가 이어지며 많은 사람들의 혼란을 낳았습니다.하지만 고용노동부는 같은 날 ‘공식 해명자료’를 통해 해당 내용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논란이 된 보도 내용과 정부 설명자료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결정된 사실과 오해를 정확히 정리합니다. 퇴직금 의무화 논란이 된 주요 보도 내용 요약퇴직금 제도 폐지 → 퇴직연금 의무화 전환퇴직연금 3개월만 근무해도 발생퇴직연금으로 벤처기업 투자 허용특수고용직·플랫폼노동자에게도 퇴직연금 확대 적용이 내용들.. 2025. 6.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