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MSG 정말 해로울까? 화학조미료의 오해와 진실

by 글꿈1001 2025. 5. 11.
반응형
MSG-조미료-오해와-진실-썸네일

 

한때 “MSG 먹으면 머리 아프다”, “화학조미료는 다 나쁘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필자도 그래서 한동안 먹지 않은 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화학조미료 조금 넣고 음식이나 맛있게 먹자 하는 생각으로 변했습니다.

사실, 우리가 평소에 먹는 음식들을 살펴보면 조미료 몇 그램이 대수일까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하지만 아직도 MSG에 대한 논란은 있으니 과학과 의학적 자료로 명확한 답변을 드릴께요.
MSG에 대한 오해와 진실, 그리고 안전한 섭취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MSG란?

MSG(Monosodium Glutamate, 글루탐산나트륨)는
자연에도 존재하는 ‘감칠맛(우마미)’ 성분인 글루탐산에 나트륨을 결합시킨 조미료입니다.

  • 주요 성분: 글루탐산 →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중 하나
  • 제조 방식: 사탕수수, 전분 발효 과정으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됨
  • 형태: 하얀색 결정체, 소금과 비슷한 외형

즉, 자연 유래 조미료이며 ‘화학 합성’이라는 표현은 사실과 다릅니다.

MSG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1. “화학조미료라서 몸에 해롭다?”

→ ❌ 국제식품기준위원회(Codex), WHO, 미국 FDA 모두 안전 판정

MSG는 전 세계 식품안전기구가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즉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된 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MSG 먹으면 두통, 발열, 흥분?”

→ ❌ ‘중국 음식 증후군’이라는 용어에서 비롯된 과거 오류 논문

1970년대 한 보고서에서 두통·홍조 등을 주장했지만, 통제되지 않은 실험이었고, 이후 재현되지 않아 현재는 부정된 이론입니다.

3. “MSG는 중독성이 있다?”

→ ❌ 뇌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아니며, 과학적으로 중독 증거 없음

MSG는 소화 과정에서 글루탐산으로 분해되고,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지 않습니다.

적정 섭취량과 기준은?

MSG는 별도의 1일 섭취허용량(ADI)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필요한 만큼 사용 가능’한 수준의 안전성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입니다.

  • 단, 나트륨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짜게 먹는 식습관과 병행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하루 3~5g 이내(1티스푼 수준)를 적절한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조미료에-대한-설명-일러스트

과잉 섭취 시 주의할 점

MSG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다음과 같은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항목 주의 사항
과량 섭취 구토, 복부 팽만감, 얼굴 화끈거림 (민감한 사람의 경우)
어린이·노약자 일부 소화 민감자의 경우 위 불편감 가능
나트륨 과잉 고혈압 위험군은 짠 음식과 동반 시 문제 발생 가능

단, 정상인 성인은 MSG 섭취로 장기 손상이 생긴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MSG 대신 천연 조미료? 꼭 그럴 필요는 없음

  • 다시마, 멸치, 표고버섯 등도 글루탐산 풍부 → MSG와 성분 동일
  • MSG = 인공 / 다시다 = 천연이라는 인식은 잘못된 이분법
그릇에-담겨져-있는-조미료

 

오히려 MSG는 소량으로 감칠맛을 내기 때문에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정리해보자면

항목 내용 요약
MSG란 글루탐산 + 나트륨 → 감칠맛 성분
안전성 WHO, FDA, Codex 모두 '안전' 판정
적정 섭취 1일 3~5g 이하, 나트륨 섭취와 병행 주의
과잉 시 문제 일부 민감자에 국한, 일반인에겐 문제 없음
대체 식품 천연 조미료도 실질적 구성 성분은 유사함
 

MSG는 불필요하게 두려워할 대상이 아닌, 적절히 활용하면 오히려 건강한 조미료가 될 수 있습니다!

 

 🔴추천 글

 

갱년기 평균 나이와 지속기간은요?

갱년기, 언제 시작되고 얼마나 지속될까요?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생리적인 변화, 갱년기.특히 여성에게는 신체와 감정,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로, 제대로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

a.ymiie.com

 

 

그린빈 추출물의 놀라운 다이어트 효과 (과학적 근거)

필자는 그린빈 추출물이 들어가 있는 다이어트 커피는 꾸준히 먹은적이 있었는데요. 충분히 알아보고 먹었지만, 문득 얼마나 다이어트 효과가 있을까 궁금해졌습니다.다이어트 보조 성분으로

a.ymiie.com

 

 

노화 늦추는 밥 짓는 법? 저속노화 밥 레시피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그 속도는 우리가 먹는 음식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특히 한국인의 주식인 ‘밥’은 단순한 에너지원이 아니라, 세포 노화 속도를 결정짓는 핵심

a.ymiie.com

 

 

반응형